반응형

제로클릭's 서랍 340

[아재의 색다른 C강의] RPG 게임의 기능들을 구현하면서 배우는 C언어(5교시 전투 part 함수화)

안녕하세요아재 입니다. 이번에는 지난 시간에 구현했던 전투 부분을 바탕으로 함수에 대해서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함수란 언제 쓰는지? 왜 쓰는지?함수를 쓸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함수에 대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고실제 함수를 어떻게 구현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점점 내용이 교육 보다는 게임을 만드는 부분에 비중이 커지는 것 같아걱정입니다..... ㅠㅠ

[아재의 색다른 C강의] RPG 게임의 기능들을 구현하면서 배우는 C언어(4교시 전투 part구현)

안녕하세요아재 입니다. 오랜만에 강의를 다시 하네요.날짜를 보니 2주나 지났더라고요ㅎㅎ잠시 바쁜 일이 있어서 강의 준비를 못했습니다.자아~ 하던 건 계속해야 것죠? ^^ 이번 강의는 전투 부분을 구현할 겁니다.사실 이번 강의에 전투 부분 구현과 함수로 바꾸는 것을 같이 해보려고 했는데;;;너무 길어 지더라고요 ㅠㅠ 그래서 이번에는 전투 부분 구현에 집중을 하고 이번 편을 바탕으로 다음에 함수에 관한 강의를 하려 합니다. 부족한 강의를 봐주시는 모든 분께 감사드리고~행복하세요 ^^

[아재tv - 30대 롤(LOL)!!] 시즌6!! 서폿 말파이트, 미스포츈 vs 케이틀린, 럭스 - 이렇게 게임 이해도 높은 팀은 오랜만 ㅋㅋ 나의 오더를 따르라!!

와~~~게임하다가 이렇게 이해도가 괜찮은 팀 만나기 쉽지 않은데 ㅋㅋㅋㅋ 시야도 전체적으로 넓고 게임도 잘 풀어가네요~~ 게다가 이해도가 좋은지 오더를 잘 따라 주는군요 ㅋㅋㅋㅋ 나의 오더를 따르면!!!!승리한다????? ㅋㅋ

영상/LOL 2016.03.23

[아재tv - 30대 롤(LOL)!!] 시즌6!! 서폿 쓰레쉬, 바루스 vs 루시안, 알리스타 - 바텀은 알리 때문에 힘드니 라인전 끝내고 다른 라인 돕자!!

역시 알리스타는 상대하기가 힘드네요. 아무리 잘하려고 해도 상대방 찍어 누르기가 쉽지가 않네 ㅋㅋㅋ 이럴 바에야 아예 라인전을 일찍 끝내도록 유도하고 다른 라인을 가는게 더 좋은 선택!! 게다가 다른 라인도 비슷비슷하니 풀어주기 시작하면 확!!! 기울테니 말이죠!! ㅎㅎㅎ 한번 해 봅시다!!!

영상/LOL 2016.03.23

[아재tv - 30대 롤(LOL)!!] 시즌6!! 서폿 쓰레쉬, 진 vs 애쉬, 소라카 - 상대가 너무 못하는거 같은데?? ㅎㅎ

맨날 서폿만 픽되는 이유가 뭘까요?? ;; 서폿 2픽을 하고 들어가는데 항상 서폿만 ㅋㅋㅋ 뭐~ 서폿의 승률이 나쁘진 않으니 상관은 없지만 지루하네요ㅎㅎ 이번판은 서폿 쓰레쉬.상대방은 둘다 뚜벅이~ 심지어... 엄청 못하는듯 ;;; 우리 원딜이 진이 아니였으면 훨신 전에 터트렸을 텐데... 좀 아쉽긴하네요 ㅋㅋ

영상/LOL 2016.03.17

파이선(Python) 무료 교재

Python이란 언어를 아는가??국내에는 사용자가 많지 않지만 해외에서는 엄청 많이 쓰이고 쉬운 언어로 알려져 있다. 어떤 녀석인지 한 번 볼까나????하고 자료들을 찾던 중~~ 두둥!!!!!!!!!!!!!!!!!!!!!!!!!!!!!! 개인의 강의가 아닌, 교재가 pdf로 open되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오오~~~ 위대한 오픈소스요 ㅠㅠㅠㅠ) 실제 여러 교육기관에서 교재로도 이용이 되고 있는데 심지어 무료다 ㅠㅠㅠ 게다가 강의자료 형태가 아닌 정식 '도서'인 것이다!!! 이런 고퀄리티의 자료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니 ㅠㅠㅠㅠ 엄청난 발견이 아닐 수 없다. 내 말이 거짓이 아님이 문서에도 명시되어 있다. 현재 이 책이 사용되고 있는 곳들이다. 이 책의 권한에 관한 표시이다. 보이는가???각종 대학..

[아재 C언어 - Tip#2] 디버깅 하는 법!! - 왜 책에서는 디버깅하는 법을 알려주지 않는가!!

안녕하세요아재 입니다. 오늘은 특별편.디버깅 하는 법에 대한 강의 입니다.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어디가 잘못된건지 에러가 나고결과 값이 이상하게 나올 때가 많죠?? 그럴때 어떻게 하시나요??printf()를 사용해서 의심되는 부분의 값들을 모두 출력해보시나요??그것도 하나의 방법이긴 하지만......아마 그런 방법으로 모든 사람들이 프로그램을 한다면 윈도우도 스마트폰도 없었을 겁니다!!! 이번 강의는프로그램의 잘못된 부분을 찾는 방법.즉! 디버깅하는 방법에 대한 강의 입니다. 이번 강의 역시 디버깅을 할줄 모르시는 분들은 꼭!!! 보시길 추천 합니다..

반응형